북한에서는 공개적인 신앙생활은 절대 불가능하며, 당국의 감시 때문에 비밀리에 이뤄지는 종교활동마저 쉽지 않은 것이 확인됐다. 이는 북한인권정보센터(소장 윤여상)가 국내 입국한 탈북자 755명을 대상으로 지난 한 해 동안 지속적으로 조사해온 결과에 따른 것이다. 조사에 응한 탈북자는 모두 2000년 이후 탈북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북한에서 종교활동에 몰래 참가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한 673명 중 단 10명(1.5%)만이 “있다”고 대답했다. ‘비밀 종교활동을 하는 사람을 본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 667명 중 43명(6.4%)이 “있다”고 답했고, ‘북한 생활 당시 성경을 본 경험이 있느냐’는 설문에는 응답자 675명 중 33명(4.9%)이 “있다”고 대답했다.

이는 오픈도어스선교회가 발표하는 세계 기독교 박해지수에서 6년 연속 박해국 1위를 차지한 북한의 위치를 말해주는 것이다. 북한은 ‘종교의 자유’가 있다고 밝히고 있지만, 오픈도어스선교회에 따르면 북한 내 지하교인 20여 만명 중 25%는 정치범수용소에 갇혀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실은 ‘2008년 북한 종교자유백서’는 이에 대해 “북한에서 개인적 또는 집단적으로 종교활동을 하고 있는 신앙인이 일부 존재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들은 또 북한에서 종교활동을 하다 적발되면 어떠한 처벌이 내려지느냐는 질문에 응답한 탈북자 559명 중 459명(82.1%)은 정치범수용소를 꼽았고, 87명(15.6%)은 교화소(교도소), 8명(1.4%)은 노동단련이라고 대답했다. 적발돼도 처벌하지 않는다고 답한 탈북자도 5명(0.9%) 있었다.

북한인권정보센터는 또 백서에서 지난 2003년부터 올해 1월까지 북한의 인권침해사건 4142건을 분석했고, 이중 138건(3.3%)이 종교 박해와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 종교 박해의 주요 이유로는 찬송가를 부르거나 예배를 드리는 종교활동 중 적발된 경우가 84건(60.9%), 성경이나 십자가 등의 물품을 소지했다 적발된 경우가 39건(28.3%), 제 3국에서 선교사나 기독교인을 접촉했거나 북한 내 종교활동을 하는 사람을 접했다 들켰을 때가 8건(5.8%), 북한 내에서 선교활동을 한 경우가 6건(4.3%)이었다.

백서는 이러한 종교박해 발생이 1990년대 32건에서 2000년 이후 94건으로 급증한 데 대해 “식량난과 경제난으로 탈북자가 대량 발생하고, 이들을 매개로 외부에서 종교가 유입되면서 종교박해 사건이 증거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