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현모 교수
(Photo : ) 류현모(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분자유전학-약리학교실 교수)

도덕률은 모든 사람에게 도덕적 행위의 기준이 되는 보편타당한 법칙으로 '도덕법칙'이라고도 한다. 시대에 따라 도덕률이 바뀐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그들은 대부분 다신론, 범신론 종교를 가지거나 무신론자들이다. 절대적인 유일신이 존재하지 않는 한 반드시 뭔가를 해야 한다 혹은 반드시 뭔가를 하지 말아야 한다는 도덕률은 생각하기 힘들다. 사도바울은 로마서 1~2장에서 인간이 부정할 수 없는, 시대를 초월한 도덕률을 모든 인간이 알고 있으며, 많은 경우 의도적으로 무시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C.S. 루이스는 그의 저서 <순전한 기독교>에서 이것을 중력의 법칙, 유전의 법칙 같은 자연 법칙(laws of nature)과 구별되는 자연법(Law of Nature) 혹은 인간본성의 법칙이라 표현하였다. 위험에 처한 사람의 도움을 청하는 다급한 소리를 들었을 때, "가서 그를 위험에서 구하라"는 내면의 소리와 "도우러 가면 위험하거나 귀찮아 질 수 있으니 피하라"는 다른 본능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런 두 가지 상반되는 충동적 본능 외에 "도망치려는 충동을 버리고 가서 도우라."라고 하는 제3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데, 이것을 도덕률 혹은 양심이라고 말한다. 

캘빈 린턴은 인류에게는 공동의 도덕적 유산이 있으며, 시대적, 지정학적, 문화적으로 다양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보편적인 도덕성과 행동규범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 대표적인 것이 십계명의 후반부 6개의 계명이다. 불효, 살인, 간음, 절도, 거짓말, 탐욕 등은 모든 문화권에서 금지되는 도덕률에 해당한다. 뿐만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산상수훈이나 삶으로 드러내신 도덕률은 누구에게 제시해도 부인할 수 없는 진리이며 절대적인 도덕률이다. 

만일 절대 선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개인이나 집단사이에 분쟁이 생겼을 때 각자 자기에게 유리한 주장만 할 것이 분명하며, 그 분쟁을 해결할 수단이 있을 수 없다. 결국 힘을 가진 자가 그 힘을 사용하여 자기에게 유리하게 분쟁을 해결하게 된다. 절대적 기준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은 한 가지 충동을 다른 충동보다 선호할 어떤 기반도 없다. 오직 어떤 충동이 얼마나 더 큰지만 차이가 날 뿐이다. 선악과를 금지한 하나님의 명령을 어긴 것도 그 충동의 힘이 도덕률의 저지선을 넘었기 때문이다. 

어떤 개인의 무제한적 욕구를 향한 충동은 도덕적 규제나 법적 처벌 없이 제어할 수 없다. 모든 사람이 동의할 수 있는 윤리와 법의 절대적 기준이 없을 때는 스스로의 충동과 힘이 윤리의 근원이 된다. 아담과 하와도 선악과를 먹고 난 후 자신의 책임을 다른 존재에 돌리고 자신을 합리화 하는 상황윤리를 제시하였다. 절대자로부터의 절대적 기준 없이는 그 충동을 제어할 방법이 없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 한 분 외에는 선한 이가 없느니라." 하시며, 절대적인 선의 기준은 오로지 하나님뿐임을 분명히 하셨다. 

공산주의자 레닌은 "자본가가 노동자를 착취하기 위해 신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명백하므로 그들이 주장하는 신의 도덕률을 인정하지 않는다."라고 말했고, 소련 공산당 서기장 흐루쇼프는 "자본가나 제국주의자에게 선한 것은 노동자나 식민지 사람에게는 악이다. 따라서 절대적인 선과 악은 없다."라고 말하며, 기독교의 절대적 도덕률을 부인하였다. 반면 네오막시즘에 기반을 둔 포스트모던주의자는 약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을 인권의 기준으로 주장하며, 그 권리를 지키기 위한 약자의 행동은 비록 불법적일지라도 정치적으로 정당하다고(politically correct, PC) 주장한다. 즉, 노동자나 약자의 권익을 위한 것은 절대적 선이라는 주장이다. 

성경에도 약자를 보살피는 것은 이스라엘의 의무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래서 그리스도인들은 불법을 동원한 소수자들의 요구에 대해서도 강력히 반대하는 것을 힘들어 할 수 있다.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 성경에서 예수님은 각 상황마다 독창적이며 적절한 대답을 하신다. 은혜와 진리가 충만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행위에는 사랑과 공의가 균형 있게 공존한다. 간음하다 붙잡혀온 여인에 대한 그리스도의 태도에서 그것을 발견할 수 있다. 율법의 공의로 그 행위는 정죄하되 그 죄를 저지른 여인은 사랑으로 용서하는 모습일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스스로를 진리라고 말씀하셨다. '간음은 죄이며 돌로 쳐서 죽여야 한다.'는 것은 예수님 시대 이스라엘에서는 명제적 진리로 인정받았겠지만, 간통죄가 폐지된 이 시대에는 인정받지 못한다. 그러나 간음한 여인에게 행한 예수님의 인격적 행동과 말씀의 선하심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 명제적 진리는 시대와 상황에 따라 절대성이 부정될 수 있으나, 예수 그리스도의 행동과 말씀으로 드러나는 인격적 진리의 절대성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