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종기 목사
민종기 목사(충현선교교회)

우리는 미국에서나 한국에서나 정치로부터 초연할 수 없는 시절을 보내고 있습니다. 미국의 대선은 끝났지만, 아직도 그 후유증과 사회적 갈등은 해소되지 않고 있습니다. 조국의 상황은 더욱 심각합니다. 대통령의 3차에 걸친 담화문이 발표되었고, 사과의 표명에도 불구하고 많은 국민과 정파는 아직도 하야와 탄핵의 요구를 철회하지 않고 있습니다.

신자로서 이러한 상황에서 어떠한 묵상을 할 수 있을까요? 대통령의 심사숙고를 통한 결단도 필요하고 정치권의 합리적인 대응과 정치과정은 간단없이 지속되어야 할 것입니다. 교회는 가장 슬기로운 해법이 나오도록 국민의 평안을 위하여 기도하여야 할 것입니다. 더욱이 교회는 이번에 조국의 상황에 대한 단편적인 사회적 비평으로 끝나지 말고, 이 시기를 교회의 장기적인 사회적 조망을 형성하는 중대한 계기로 삼았으면 좋겠습니다.

신자의 사회적 책임을 영성이라는 차원에서 조망한 리처드 포스터(Richard Foster)는 우리에게 중대한 통찰력을 줍니다. 그는 “생명의 강”이라는 저술을 통하여 성령 충만함을 경험한 성도들이 사회적 영성을 가질 수 있음을 논의하였습니다. 그는 예수님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생수의 강줄기가 낳은 영성의 유형을 여섯 가지, 즉 묵상, 성결, 카리스마, 복음전도, 사회정의, 성육신으로 구분하는데, 이 중에서 사회정의의 전통이나 성육신 전통 등은 사회적 변화를 불러일으키는 사회적 영성(social spirituality)과 직결됩니다.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은 다분히 이러한 사회적 영성을 포함합니다. 그는 무엇보다도 중세의 위계질서에 기반을 둔 세계관을 버리고 하나님 앞에 평등한 새로운 사회관을 제공하였습니다. 캘빈주의자는 이러한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려는 사람들의 전형이자 선구자들입니다. 스위스 제네바에서 목회하던 캘빈은 종교개혁을 사회개혁과 연결시켜 제네바시를 개혁하였습니다. 그곳에 세워진 제네바 대학교는 종교개혁자들을 길러내는 모판이 되었습니다.

캘빈의 후예들이 현대 민주주의의 사상적 기반을 이루는 사람들이 되었다는 것이 영국 케임브릿지의 사상가 켄틴 스키너(Quentin Skinner)의 지적입니다. 미국 프린스턴대학의 사상가 마이클 월저(Michael Walzer) 또한 캘빈주의의 영국적 분파인 청교도들은 사회 개혁적이고 심지어는 혁명적인 사람들이었다고 평가합니다. 청교도를 비롯한 캘빈주의자들은 자신의 신앙이 종교의 성역을 흘러넘쳐 온 세상을 포괄하여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그들의 영성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과 가정의 변화를 동반하는 총체적 영성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이처럼 개신교의 역사에서 사회적 경건과 사회적 영성은 생소한 개념이 아닙니다. 현재의 미국과 조국에 대한 묵상과 기도와 참여는 그 이념적 스펙트럼이 어떠하든지 일과성으로 지나갈 일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왕 되심은 하나님의 통치영역에서 사회와 정치를 배제시키지 않습니다. 교회의 내부적 개혁과 함께, 사회적 영성이라는 위대한 개신교적 전통이 살아있는 전통이 되어 장기적인 사회적 공헌으로 이어지기를 소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