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달 30일 북한이 개성공단을 폐쇄하겠다고 위협한데 이어, 오는 10일까지 인력 전원을 철수하라고 통보했다. 사실상 개성공단 협력 폐지 단계를 밟은 것이다.
지난달 30일 북한 중앙특구지도개발총국 대변인은 3대 김씨 왕조를 가리키는 '우리의 존엄'을 훼손하려 든다면 개성 공단을 차단·폐쇄할 것이라고 위협했었다. 한국 정부는 통일부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내고 강한 유감을 표시하면서 즉각적인 통행 정상화를 촉구했다.
현재 개성공단에는 한국 근로자와 관계자 860여 명이 체류하고 있으며, 이들의 신변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개성공단은 2000년 현대와 북한 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가 개발 합의서를 체결한 이후 2003년 착공식을 거쳐 2004년부터 제품 생산을 시작했다. 2006년에는 북한 측 근로자가 1만 명을 넘어 서고, 총 생산액이 1억 달러를 달성할 정도로 활발한 생산이 이뤄졌다.
그러나 2008년부터 북한은 개성 공단 폐쇄를 언급했으며, 한국 측 상주 체류 인원도 880명으로 제한했다. 2009년에는 개성공단 현대아산 유성진 씨를 체제비난, 탈북책동 등의 혐의로 조사를 실시해 억류 136일 만에 석방했다. 이런 가운데도 개성 공단의 생산 활동은 이어져 누적 생산액이 5억 달러를 달성하기도 했다.
북한의 지속적인 폐쇄 위협에도 한국 정부는 개성 공단을 통한 대북 협력 사업에 대한 희망을 놓지 않았다. 한국에서는 북한의 핵실험과 2010년 천안함 폭침, 연평도 도발에도 개성 공단의 근로자들을 철수시키지 않았다. 개성 공단이 폐쇄되면 남북 관계가 더욱 경색 될 우려가 작용했기 때문이다.
북한은 개성 공단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을 통해 연간 8천-9천만 달러의 현금을 확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측 기업은 북한 근로자 5만여 명에게 1인당 평균 월 130여 달러를 지급하고 이 가운데 절반은 북한 정권으로 흘러가고 있다.
일각에서는 북한의 이번 공단 폐지 위협이 정치적 입김 과시용이란 지적도 일고 있다. 북한은 2008년 대북전단(삐라)을 문제 삼아 개성공단 출입을 제한했고, 2009년에도 한·미 연합 훈련을 이유로 통행을 제한했다가 해지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북한의 개성공단 폐쇄 위협이 현실화 되는 가운데, 미 주류 언론에서도 한반도 긴장 상태를 앞 다퉈 보도하며 남북간 관계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