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뉴캐슬대학교 연구진이 최근 "'3부모 아기'를 탄생시킨 혁신적 시험 시술을 통해, 2025년 현재까지 8명의 건강한 아기가 출산됐다"고 밝혔다.

이 시술은 산모와 산부의 핵 DNA와 건강한 여성 기증자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생성된 배아는 부모로부터 핵 DNA를, 여성 기증자로부터 미토콘드리아를 물려받게 된다.

이 방식은 '전핵 이식'(Pronuclear Transfer) 또는 '미토콘드리아 기증 치료'(Mitochondrial Donation Therapy)로 불리며, 심각한 미토콘드리아 질환을 전염시킬 위험이 매우 높은 특정 여성의 유전병 전이를 원천 차단하는 것이 목적이다.

난자 핵 주변에 있는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유전자 DNA 전체 구성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가 채 되지 않지만, 결함이 생기면 심각한 대사질환과 당뇨병, 암, 알츠하이머 등이 나타날 수 있다.

2015년 영국 의회가 세계 최초로 영국 생식배아관리국(HFEA) 규제 아래 이 방식을 도입한 후, 엄격한 승인 절차를 거쳐 시행 중이다. 총 22명의 여성이 해당 시술을 받았고, 그 중 7명이 임신에 성공했으며 쌍둥이 포함 총 8명 출산(임신 성공률 36%)의 출산이 이뤄졌다. 아기들은 모두 발달이 정상적이며, 미토콘드리아 돌연변이 수준도 질병 기준 이하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에서는 유전 조작 가능성 및 세대 간 유전 변이 문제 등을 이유로 이를 금지하고 있다.

기독교 및 생명윤리 단체들은 이에 대해 "두 개의 배아를 파괴하고 하나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배아를 '실험 재료' 수준으로 다룬다"며 비판했다. 또 9~14일 연구 허용 시한을 22일까지 연장하도록 요구하는 등 일부 규제 완화 움직임에 대해 "인간 배아 연구 기간을 지나치게 확장하려는 시도"라고 반발했다.

아울러 "세대에 걸쳐 유전되는 생식세포계열 변경의 장기적인 영향이 불확실하며, 심리적 정체성 문제, 맞춤 아기 가능성 등 사회적·윤리적 위험 요소가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영국생명권(Right to Life UK)의 캐서린 로빈슨(Catherine Robinson) 대표는 "세 번째 아기를 위해 두 생명이 제거됐다. 이는 두 개인의 생명권 침해"라고 주장했다.

그녀는 "인간 배아에 대한 실험은 절대 해선 안 되지만, HFEA가 배아 실험에 더 깊이 들어가는 것을 보는 일이 훨씬 더 충격적이다. 임신 22일쯤 되면 중추신경계가 형성되고, 28일에는 발달 중인 심장이 뛰는 것을 볼 수 있고, 뇌가 발달하기 시작하며, 아기의 눈, 귀, 코가 나오기 시작한다"고 했다.

앤스콤 생명윤리센터(Anscombe Bioethics Centre) 등 가톨릭 생명윤리단체는 "자연적인 부모 구성을 위반할 뿐 아니라 하나님의 형상을 지닌 인간 존엄성을 침해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