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인갑 장로
(Photo : 기독일보) ▲여인갑 장로

유대교 역사에는 두 명의 위대한 랍비가 있다. 바로 힐렐과 삼마이이다. 기원전 1세기부터 기원후 1세기까지 활동한 이들은 각각 자신만의 철학과 가르침으로 유대교의 율법 해석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그들이 이끈 힐렐 학파와 삼마이 학파는 율법을 어떻게 이해하고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그들의 논쟁은 유대교의 주요 문헌인 미슈나(Mishnah), 게마라(Gemara), 토세프타(Tosefta)를 참조하면 된다. 미슈나는 구전 율법을 정리한 문헌으로, 힐렐과 삼마이의 논쟁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게마라는 미슈나에 대한 해석과 논의를 담은 문헌으로, 두 학파의 해석적 차이를 더욱 깊이 있게 다룬다. 토세프타는 미슈나에 포함되지 않은 구전 율법과 전통을 수집한 문헌으로, 히브리어로 추가 또는 보충을 의미하며, 두 학파의 추가적인 해석 사례를 제공한다.

안식일 규정: 유연함 vs. 엄격함

안식일은 유대교에서 매우 중요한 날이다. 힐렐 학파는 인간의 필요와 복지를 고려하여 안식일 규정을 유연하게 해석했다. 비상 상황이나 인간의 생명이 위협받는 경우, 안식일에 일하는 것도 허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 반면 삼마이 학파는 어떤 상황에서도 안식일에 일하는 것을 금지했다. 율법의 엄격한 준수가 그들에게는 최우선이었다.

이혼 사유: 현실적 접근 vs. 전통적 준수

이혼에 대해서도 두 학파는 다른 관점을 가졌다. 힐렐 학파는 부부 간의 불화나 다양한 이유로 이혼을 허용해야 한다고 보았다. 인간 관계의 복잡성을 인정하고 현실적인 해결책을 제시한 것이다. 그러나 삼마이 학파는 간음과 같은 중대한 죄를 범한 경우에만 이혼을 인정했다. 이로 인해 이혼은 매우 어려운 일이 되었다.

의식과 예배: 실용성 vs. 전통 유지

축제와 의식, 그리고 예배에 있어서도 힐렐 학파는 실용성과 접근성을 강조했다.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과도하게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신앙을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했다. 삼마이 학파는 전통적인 방법과 엄격한 규칙의 준수를 강조하며, 예외를 허용하지 않았다. 그들은 규칙을 어기는 것이 예배의 의미를 손상시킨다고 믿었다.

구제와 자선: 관대함 vs. 규율

구제와 자선에 대한 태도도 마찬가지였다. 힐렐 학파는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에게 자선을 베풀고, 그들의 필요를 채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반면 삼마이 학파는 자선에도 규칙이 필요하며, 과도한 자선은 사람들을 게으르게 만들 수 있다고 우려했다.

개종자와 혼합 결혼: 포용 vs. 배척

힐렐 학파는 개종 희망자에게 관대하고 포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다른 민족과의 혼합 결혼에도 비교적 관대했다. 사랑과 상호 존중이 결혼의 본질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삼마이 학파는 개종에 엄격한 기준을 적용했고, 혼합 결혼을 철저히 반대했다. 유대 민족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서였다.

현대 유대교에 남긴 영향

시간이 흐르면서 힐렐 학파의 해석이 더 널리 받아들여졌다. 탈무드에서도 힐렐 학파의 해석이 대부분의 논쟁에서 우세를 보인다. 이는 그들의 해석이 현실적이고 인간 중심적이어서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을 얻었기 때문이다. 삼마이 학파의 엄격한 규율은 실생활에서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었고, 일부 종파에서만 유지되었다.
힐렐 학파의 유연하고 자비로운 접근 방식은 현대 유대교의 기초가 되었다. 율법의 본질적인 가르침을 따르면서도 사람들의 삶을 개선하고 고통을 줄이는 방향으로 발전시킨 것이다. 이는 오늘날에도 종교적, 윤리적 논의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힐렐과 삼마이 학파의 이야기에서 우리는 율법이나 규칙을 해석하는 데 있어 얼마나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는지를 알 수 있다. 한쪽은 인간의 필요와 현실을 고려하여 유연하게 접근하고, 다른 한쪽은 전통과 규율을 엄격히 지키려 한다. 이 두 가지 접근 방식은 비단 유대교뿐 만 아니라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중요한 화두이다.

우리도 일상의 삶 속에서도 규칙과 현실 사이에서 고민할 때가 많다. 이때 힐렐의 관용과 삼마이의 엄격함을 동시에 생각해 본다면,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결국 중요한 것은 사람들을 배려하고 공동체의 조화를 이끄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