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태광 목사(월드쉐어 USA)
(Photo : 기독일보) 강태광 목사(월드쉐어 USA)

현대 성도들에게 소개하고픈 초대교회 문서 중의 하나가 <디오그네투스에게 보내는 서신>이다. 이 서신은 <헤르마스의 목자>와 더불어 수신자의 이름으로 전해지는 문서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두 문서의 공통점은 저자가 명확하지 않았던 반면에 수신자는 명확하다. 디오그네투스에게 보내는 편지는 2세기에 기록된 것으로 추정된다. 교회 내부의 혼란과 외부의 핍박이 공존하여 어려움을 겪었던 시기에 기록된 문서로 보인다.

초대교회 교부 문헌들은 니케아 이전과 이후의 문헌들의 차이가 있다. 기독교가 로마 제국에서 공인 된 이후에 소집된 최초의 보편적인 종교회의인 니케아 회의는 교회사에 중요한 분깃 점이다. 니케아 회의를 전후해서 교회는 많은 차이를 보여준다. 신앙 양식이나 교리는 물론이고 교부들의 문헌에도 니케아 종교회의 이전과 이후에 큰 차이가 있다.

니케아 이전 문서에는 심한 핍박이 언급되고, 기독교에 대한 오해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가득했고, ‘전통’과 ‘일치’, ‘거룩한 삶’과 ‘순교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하다. 문헌의 문체는 대체로 투박하고, 체계적이지 못하며, 일관성이 없다. 마치 격식이나 치밀한 논리가 필요하지 않은 사적인 서신 즉 가족이나 친구 등에게 보내는 형식의 편지가 주류를 이룬다. 이것은 초대교회가 신학적인 논쟁보다는 ‘공동체성’에 보다 많은 관심과 현실적 필요, 도덕적 삶을 추구했기 때문이었다고 보인다.

반면에 니케아 종교회의 이후에 기록된 문서들은 핍박과 갈등이 사라진 상황을 보여준다. 논조나 문체가 비교적 세련되었고 여유가 있다. 문서에 나타난 교회는 성숙된 교회의 모습이다. 교리적으로는 삼위일체론은 이미 확립된 것 같고, 신성과 인성을 인정하는 기독론도 확립되었고 영성이나 개인의 성숙에 관련된 글들이 많이 등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런 기준으로 살피면 디오그네투스에게 보내는 편지는 니케이 종교회의 이전 자료인 것이 분명하다. 내용은 네로의 핍박이 시작되어 대대적인 고통을 교회가 겪는 것을 담고 있다. 고통의 상황에서 성도들이 어떻게 믿음을 지키고 경건하게 사는 가를 잘 보여주는 자료다.

사도 요한의 계시록 후 교회가 급성장하였다. 기독교 세력의 팽창은 로마 황제가 시샘하거나 위협을 느낄만한 상황이었다. 그래서 교회를 그대로 두어서는 안 된다고 판단한 네로가 교회를 대대적으로 핍박했다. 이미 알려진 대로 네로의 핍박은 무섭고 잔인했다. 이런 상황을 디오그네투스에게 보내는 편지가 비교적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12장으로 구성된 디오그네투스에게 보내는 편지의 내용은 2세기 중 후반의 교부 문헌과 거의 흡사하다. 이레네우스나 로마의 히폴리투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등의 기록들과 내용상 겹치는 부분이 많다. 반면에 다른 교부의 작품을 인용하거나 동시대의 인물들에 대한 언급은 나타나지 않는 것은 당시 다른 교부 문헌과 상이한 점이다.

구체적인 내용을 잠시 살피면 1장에서 4장까지는 기독교 우월성을 소개한다. 저자는 기독교의 우월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이교도와 유대교를 비판한다. 이어서 5장과 6장에서는 그리스도인의 삶의 방식과 기준을 다룬다. 그리스도인들이 일반인과 다르지 않은 삶을 살고 있지만 다른 도덕적 기준을 갖고 산다. 그리스도인들은 세상에 있지만 ‘세상에 속하지’ 않은 모습으로 사는 것이다. 요컨대 성도들이 가진 높은 도덕적 기준을 제시한다.

7장에서 9장까지는 하나님에 대한 신학적 해설을 한다.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을 바라보며 사는 사람들이다. 그러므로 그리스도인들에게 하나님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하다. 하나님을 바르게 이해해야 바른 신앙을 가질 수 있다. 하나님께서 폭력이 아닌 사랑으로 사람을 구원하시기 위해서 아들을 보냈다. 이 아들은 ‘이 우주의 설계자이며 건축가이신 분’이시다. 이런 아들을 보내신 하나님을 바르게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10장에서 12장은 하나님의 신비를 설명하고 성도들에게 주는 권고다. 하나님께서는 사람들이 하나님을 사모하도록 하나님의 형상을 사람들의 마음에 심으셨다고 말씀하신다. 하나님께서는 하나님을 사랑하고 하나님을 사모하는 사람들에게 하나님 나라를 약속하셨다. 우리 성도들이 하나님을 사모하면 하나님의 선하심을 본받을 것이고, 이웃을 괴롭히고 약자를 짓밟고 재산을 축적하는 사람은 행복할 수 없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디오그네투스에게 보내는 편지는 변증서이지만 다른 교부들의 변증서 들과는 여러 가지에서 차이가 있다. 먼저 이 편지는 다른 교부들의 작품에 비해 감성에 호소하는 경향이 강하다. 다른 교부들은 이성적이고 논리적으로 신앙과 교회를 변증하는 데 반하여 디오그네투스에게 보내는 편지는 감정에 호소하며 감동을 지향한다.

이 편지는 문체가 바울서신과 아주 흡사해서 바울서신을 읽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고 바울서신을 읽은 듯한 감동을 한다. 아직 교리나 정경이 완성되지 못한 상태인데 저자는 사도바울의 서신에 정통한 실력을 과시한다. 바울서신에 너무 정통한 나머지 서신의 내용에서 바울의 의견인지 디오그네투스 자신의 의견인지 구분하기가 어려운 상태다. 이것은 당시 초대교회가 인정하는 바울의 권위의 영향력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다.

디오그네투스에게 보내는 편지는 전체적으로 2세기 변증서의 성격을 갖고 있지만, 문체나 논리 구조는 상당히 발전된 모습을 보이는 작품이다. 짧은 소책자에 불과하지만 탁월한 기독교 변증서다. 아울러 이 서신은 당시 신앙인들에 의해서 수용되었던 탁월하고 고차원적인 도덕적 삶을 논하고 있다. 기독교 교인의 삶이 고차원적으로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디오그네투스에게 보내는 서신은 격동기를 지나는 기독교가 자리 잡아가는 과정을 보여주며 2세기 교회의 상황을 전한다. 죄의 전가 문제 등은 아직 모호하고 미성숙한 부분이 있지만 신론이나 기독론에서는 상당히 성숙한 단계에 있음을 보여준다. 무서운 핍박이 있었던 혼란한 시기이지만 참 신앙과 바른 삶을 지향했던 당시 교회와 성도의 성숙을 엿볼 수 있는 자료다.

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