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라 발견된 추락 무인기는 북한의 소행으로 최종 결론 났다.
국방부는 8일 북한 소형 무인기의 비행조종컴퓨터에 저장된 GPS 비행계획을 분석한 결과 파주 무인기(3월24일 발견)는 발진과 복귀지점이 개성 북서쪽 약 5㎞ 지점(37.9977N, 126.5105E), 백령도 무인기(3월31일 발견)는 황해도 해주 남동쪽 약 27㎞ 지점(37.8624N, 125.9478E), 삼척무인기(4월6일 발견)는 강원도 평강 동쪽 약 17㎞ 지점(38.4057N, 127.4785E)이라고 밝혔다.
무인기가 발진한 해주와 개성, 평강 지역에는 북한의 군단급 부대가 자리한 것으로 알려져 이들 부대에서 무인기를 직접 보냈을 가능성에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하지만 좌표만으로 해당 부대를 직접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추가로 확인해야 명확해질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소행임이 확실해짐에 따라 북한이 무인기를 내려 보낸 이유도 관심사다. 국방부 관계자는 "우리 정부의 군사 핵심시설에 대해 최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정찰활동 차원으로 보고 있다"고 답했다.
실제로 최초 발견자가 개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카메라 메모리카드를 삭제한 삼척 무인기를 뺀 나머지 무인기에서는 군 시설은 물론 청와대 등의 중요 시설이 찍혀 있었다. 이 사진의 중심을 기준으로 촬영경로를 분석한 결과가 무인기의 비행조종 컴퓨터에 저장된 비행기록과 정확하게 일치했다.
백령도 무인기의 경우 황해도 해주 인근 초암동에서 출발해 1.8㎞ 고도에서 소청도와 대청도, 백령도 상공을 거미줄처럼 촘촘하게 동서로 횡단하며 촬영했다. 특이점은 발사대에서 발사된 시각이 낮 12시48~50분 사이였다는 점이다. 추정이지만 발사시각까지 확인된 것은 이 무인기가 유일하다. 항로점을 연결해 확인한 비행거리는 423㎞에 달했다.
파주 무인기는 개성 인근에서 비행을 시작해 2.5㎞ 고도로 파주시청과 고양시청, 서울시청을 거쳐 청와대를 촬영한 후 복귀하다 엔진이상으로 낙하산을 펼쳐 추락했다. 항로점 연결 비행거리는 133㎞였다.
삼척 무인기는 사진이 삭제돼 비행계획만 확인됐다. 분석 결과 평강지역에서 출발해 휴전선을 넘어와 사방거리→화천→춘천→사내→근남을 거쳐 복귀하려 했다.
이 무인기는 사전에 입력된 비행경로대로 가지 못하고 방향조종 기능에 문제가 생겨 춘천에서 약 150㎞떨어진 삼척시 하장면 청옥산(1040m) 중턱 해발 940m 지점(위도 37.369810, 경도 128.943530)에 추락했다. 항로점을 연결한 비행거리는 150㎞로 나타났다.
북한이 무인기를 어떻게 구입했는지도 관심이었다. 이날 최종 조사결과에서는 외형과 제원이 유사하다는 것은 인정했지만 확증하지는 못했다.
중국 대사관에 무인기 제작업체인 '중교통신(中交通信, TranComm)' 제품인지를 문의했지만 속 시원한 답을 듣지 못했기 때문이다. 다만 해당 업체가 이를 판매한 적이 없다고 홍콩 언론과 인터뷰에서 부인했을 뿐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중국 측이 제작사가 개인 회사인데다 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는다. (무인기 제작 등에) 관여한 적이 없는데다 생산이나 판매에 대해 알지 못한다고 답변했다"며 "그러나 대량생산 가능성이나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지만 현재로서는 확인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지난해 3월24일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1501부대를 방문했을 때 찍힌 사진에 등장했던 무인기 날개 추정 물체에 대해서는 상당부분 일치하는 것으로 조사결과 드러났다. 하지만 실물이 아닌 사진으로 비교한 것이라 확증할 수는 없다는 게 국방부의 설명이다.
연료가 합성유임에도 기체에 기름이 거의 묻지 않았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윤활유 비율이 적은 연료를 사용했고 배기구가 위로 향한데다 날개가 엔진과 가까워 적게 묻었다고 설명했다. 카메라 등을 제외한 후 살상용 폭약을 설치 해 떨어뜨렸을 경우 건물 내에서는 1~2m 이내여야 손상을 입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때의 폭약 무게는 3~4㎏ 정도다.
김종성 국방과학연구소 무인기 개발단장은 이날 발표에서 "파주와 백령도 무인기가 촬영한 사진에서 추정한 비행경로와 비행조종 컴퓨터의 비행계획이 일치한다"며 "삼척 무인기는 사진 자료가 없어 직접 비교가 불가능했지만 비행계획 파일을 추출해 좌표를 확인했다. 이들 무인기는 모두 북한지역에서 발진해 같은 지점으로 복귀할 계획이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