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프랑스, 독일, 영국 등 서방 4개국이 이란과의 핵합의 복원 시한을 오는 8월 말로 설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 전문 매체 액시오스(Axios)는 15일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이들 4개국 외무장관이 전날 전화 회담을 통해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들은 이란이 8월 말까지 포괄적 공동행동계획(JCPOA)에 대한 실질적 합의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2015년 합의 이후 해제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를 자동으로 복원하는 '스냅백(snapback)' 메커니즘을 발동할 계획이다.
스냅백은 JCPOA 조항 가운데 하나로, 당사국이 위반을 통보하면 유엔 제재가 자동으로 부활하는 구조다. 해당 조항은 JCPOA 발효 10주년인 오는 10월 18일 법적 효력이 만료될 예정으로, 발동까지 약 30일이 소요된다. 미국과 유럽은 유엔 안보리 의장국이 되는 러시아의 방해 가능성을 고려해 그 이전에 절차를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유럽 외교당국은 조만간 이란과의 직접 접촉을 통해 스냅백 가능성을 경고할 예정이다. 이들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 재개와 함께 60% 농축 우라늄 400㎏의 제거 등 핵활동 축소를 이란 측에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시한 설정은 최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백악관 방문에서도 중요한 의제로 다뤄졌다. 네타냐후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 및 백악관 고위 당국자들과 회동에서 미국이 스냅백 발동을 주저하지 않기를 원한다고 전하며, 중동 특사인 스티브 위트코프에게는 "시간이 많지 않다는 점을 이란에 명확히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미국 고위 관계자는 트럼프 행정부가 스냅백 메커니즘을 지지하고 있으며, 이를 이란과의 협상에서 전략적 지렛대로 삼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이란은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이란 당국은 "제재 복원은 법적 근거가 없다"며, 스냅백이 실행될 경우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까지 검토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기자들과 만나 "이란은 협상을 원하지만 나는 서두를 이유가 없다"며 "이미 그들의 핵시설을 파괴했다"고 발언했다. 이는 대화의 문을 열어두되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