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군사 정보기관인 국방정보국(DIA)은 13일(현지 시각)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북한이 2035년까지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50기를 보유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 보고서는 북한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의 미사일 위협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고 있으며, 미국 본토에 대한 미사일 위협이 향후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경고를 담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북한이 보유한 ICBM은 약 10기 이내로 추정되며, 북한은 향후 10년 동안 40기 이상의 추가 ICBM을 양산할 가능성이 있다고 DIA는 밝혔다. 북한은 이미 미국 본토까지 도달할 수 있는 미사일 시험 발사에 성공했으며, 이를 통해 미국 전역에 미칠 수 있는 미사일 위협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DIA의 보고서는 "향후 10년 간 핵무기 탑재와 운반 체계가 더욱 발전함에 따라 미사일 위협의 규모와 정교함이 커질 것"이라고 경고하며, 북한을 포함한 주요 국가들의 미사일 보유 상황을 점검했다. 이 보고서는 특히 북한이 미국 본토에 도달할 수 있는 탄도미사일을 계속해서 개발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향후 미사일 위협이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북한 외에도, 중국과 러시아는 각각 새로운 운반 체계를 개발 중이며, 이에 따른 미사일 위협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DIA는 또한 이란이 2035년까지 군사적으로 실행 가능한 ICBM을 개발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란은 우주 발사체를 활용해 미사일 개발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중동 지역의 미사일 위협도 증가할 수 있다. 

DIA의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과 러시아는 각각 수백기의 ICBM을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10년 동안 그 숫자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현재 400기의 ICBM을 보유하고 있으며, 2035년까지 700기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러시아는 현재 350기의 ICBM을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10년 동안 이 수치는 450기에서 500기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DIA는 각국의 핵무기 탑재 잠수함 및 초음속 무기 보유량도 점검했다. 러시아는 현재 192척의 핵무기 탑재 잠수함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수치는 향후 10년간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현재 72척의 핵무기 탑재 잠수함을 보유하고 있으며, 2035년까지 최소 132척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초음속 무기의 경우 중국은 현재 600개를 보유하고 있으며, 2035년까지 이를 4000개로 증가시킬 것으로 예측됐다. 러시아의 초음속 무기도 향후 10년간 급증할 것으로 보이며, 이 또한 미사일 위협을 더욱 심각하게 만들 것으로 우려된다. 

보고서는 이 외에도 각국의 지상 공격 순항 미사일 보유 상황을 다루고 있다. 중국은 현재 1000기의 지상 공격 순항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으며, 2035년까지 5000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러시아도 300~600기의 지상 공격 순항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10년 내에 이 수를 5000기까지 늘릴 것으로 전망됐다. 

DIA의 이번 보고서는 향후 몇 년간 북한을 비롯한 여러 국가들의 미사일 위협이 점차 강화될 것임을 경고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북한의 ICBM 개발이 본격화되고, 그 수가 급격히 증가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미국 및 국제 사회는 이에 대한 대응을 강화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