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과 중국이 상호 부과한 보복성 고율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기로 합의하면서, 장기간 이어져 온 양국 간 무역 갈등이 완화 국면에 들어섰다. 백악관은 12일(현지시간) 발표한 공식 성명을 통해 이번 조치가 지난 10일부터 11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진행된 미·중 고위급 무역 협상의 결과임을 밝혔다.
이번 합의는 양국이 각각 매긴 34%의 상호관세를 10% 수준으로 대폭 낮추고, 그 외에 단계적으로 추가 부과된 관세 91% 상당을 철회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관세 유예 조치는 오는 14일을 기준으로 90일간 적용된다.
미국 측에서는 이번 조치로 지난 4월 2일 발표한 중국산 제품에 대한 상호관세 34% 가운데 기본 관세 수준인 10%를 제외한 24%가 90일간 유예된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 시절 행정명령을 통해 추가 부과된 91%에 해당하는 보복성 관세도 철회된다. 이에 따라 미국이 중국에 부과하는 총 관세율은 기타 국가와 동일한 10%로 조정되며, 펜타닐 등 특정 품목에 대해 기존에 유지하던 20%의 추가 관세를 포함해도 전체 관세율은 30%로 낮아지게 된다.
중국 또한 미국과 동일한 수준에서 관세 완화를 시행하기로 했다. 중국은 미국에 대해 부과하던 34%의 상호관세를 10% 수준으로 낮추고, 이후 양국 간 무역 갈등 과정에서 부과된 91%의 보복성 추가 관세 역시 철회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중국이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 역시 10% 수준으로 정리된다.
이번 합의는 단기적인 관세 유예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인 경제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체계 마련으로 이어졌다. 백악관은 성명에서 양국이 경제·무역 관계 논의를 지속하기 위한 공식 협상 메커니즘을 구축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미국 측 대표로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중국 측에서는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가 협상단을 이끌 예정이다. 양국은 향후 협상을 미국과 중국에서 번갈아 진행하거나, 필요에 따라 제3국에서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고위급 회담 외에도 실무급 협상도 병행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무역 질서 재정립을 위한 실질적인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