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미 국회의사당에 고 빌리 그래함 목사의 동상이 세워지게 된다. 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 보도에 의하면 빌리그래함복음주의협회(BGEA)가 오는 16일 오전 11시 국회의사당 내 국립조각상 홀에서 동상 헌정식을 진행하는데 이 행사에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을 비롯한 국회의원들이 다수 참석할 예정이라고 한다. 

고 빌리 그래함 목사의 동상이 미 국회의사당에 세워지게 된 건 지난 2013년 노스캐롤라이나 주 의회가 그의 실물크기 동상을 국회의사당에 전시하기로 하는 내용의 법안을 통과시킨 게 계기가 됐다. 당시 법안은 "노스캐롤라이나 출신으로 빌리 그래함 목사만큼 세상에 영향을 미친 사람은 거의 없었다"는 점을 내세워 미 국회의사당 내 그의 동상 건립에 당위성을 강조했다. 

지난 2018년 향년 99세로 세상을 떠난 빌리 그래함 목사는 전 세계인들의 애도 속에 미국 국회의사당 국립조각상홀에 안치됐다. 미국 국회의사당 내 국립조각상홀은 미국 각 주의 저명한 시민들을 기념하기 위해 1864년에 설립됐는데 기 빌리 그래함 목사가 이곳에 미국 시민으로는 네 번째로 안치된 인물로 기록됐다. 

그래함 목사의 동상은 그의 출생지인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 출신의 한 예술가가 디자인한 청동 조각품으로 높이가 7피트에 달하는 받침대 위에 세워졌으며 손에 펼쳐진 성경을 향해 손짓하는 그래함 목사의 모습을 묘사했다. 받침대에는 요한복음 3장 16절과 요한복음 14장 6절이 새겨져 있고,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파하는 자'라는 명판이 새겨졌다고 한다. 

BGEA와 사마리아인의 지갑(Samaritan's Purse) 회장 겸 CEO인 그래함 목사의 아들 프랭클린 그래함 목사는 아버지의 동상이 국회의사당에 세워지게 된 것에 대해 "큰 영광"이라면서 "하지만 아버지는 사람들이 오직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께만 관심을 갖기를 원하실 것"이라고 말했다고 CP가 보도했다. 

고 빌리 그래함 목사는 80년에 걸친 사역 기간 동안 미국 대통령 12명에게 영적 조언을 했고 185개 국가와 지역에서 무려 2억1,500만 명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증거한 20세기를 대표하는 '위대한 전도자'로 불린 인물이다. 그런 점에서 그의 동상이 국회의사당에 세워지게 된 건 당연한 결과면서도 그의 사후 6년 만에 이루어지게 됐다는 점에서 한편으론 늦은 감이 없지 않다. 

빌리 그래함 목사는 우리나라와도 떼래야 뗄 수 없는 관계가 있다. 그는 한국전쟁 중이던 1952년 한국을 방문해 미군들을 위로하고, 서울과 부산 등지에서 각종 전도집회를 열었다. 이를 계기로 한경직 목사를 비롯한 한국교회 지도자들과 깊은 교분을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그래함 목사는 당시 성탄절에 경무대에서 이승만 대통령을 만나 대담을 나누기도 했다. 그 내용이 1953년에 발매된 그의 전도집회 음반 'Let Freedom Ring(자유가 울리게 하라)'에 고스란히 담겼는데 전쟁 중이던 한국에 대한 자유와 평화를 위한 지원과 반공에 대한 메시지로 가득했다. 그래함 목사는 한국전쟁이 끝난 후인 1956년에 다시 한국을 다시 방문해 한경직 목사와 함께 한국교회의 부흥과 재건에 크게 기여했다. 

한국교회가 빌리 그래함 목사에게 받은 영적 영향력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을 꼽으라면 1973년 빌리 그래함 전도집회, '엑스플로 74'를 들 수 있다. 1973년에 세 번째로 한국을 방문한 그래함 목사는 전도집회 중에 "한국은 나의 제2의 고향"이라며 한국에 대한 깊은 애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당시 서울 여의도 5·16 광장에서 열린 '엑스플로 74' 전도집회에 무려 100만명이 참여하면서, 이를 계기로 한국교회가 폭발적 성장을 이루는 전기가 마련됐다. 

고 빌리 그래함 목사는 한국교회 부흥에 뜨거운 영적 불을 지폈을 뿐 아니라 한반도 평화 통일에도 깊은 관심을 가진 지도자였다. 그는 1990년대에 두 차례나 북한을 방문해 당시 김일성 주석과 면담을 갖고 성경과 함께 복음을 전한 일화가 내려온다. 한반도 평화를 위한 그의 깊은 애정은 아들 프랭클린 그래함 목사에게 전승돼 북한 방문과 지속적인 북한 주민 구호활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빌리 그래함 목사는 임종 직전까지도 "내 남은 생애 가운데 한반도가 통일된 모습을 보고 싶다"라며 한반도 평화 통일을 염원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통일은 하나님이 이루어 주시는 것"이라며 "하나님의 뜻에 합당한 기도를 드리면 통일은 꼭 이루어질 것"이라는 말을 남겼다. 

미국 장로교 선교사 언더우드와 미국 감리교 선교사 아펜젤러가 1884년 내한해 복음을 전하면서 시작된 한국교회는 지난 140년간 엄청난 영적 양적 성장을 이뤘다. 그 역사적인 배경에 1907년 평양대부흥과 1970년대 이후 수많은 부흥성회와 대부흥운동이 밑거름이 됐음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그중 1973년 '빌리 그래함 전도집회', 1974년 '엑스플로 74' 집회는 한국교회의 영적 성장에 기폭제로 작용했다. 전국의 교회마다 노방전도와 철야기도, 기도원을 중심으로 산기도의 열정이 일어나면서 한국교회가 폭발적으로 부흥하는 전기가 됐다고 할 수 있다. 

그 중심에 빌리 그래함 목사가 자리하고 있다. 그는 전쟁 중에 고난당하는 대한민국 국민에게 용기와 힘과 위로를 주기 위해 하나님이 이 땅에 보내신 메신저였으며 전도와 말씀, 기도의 반석 위에 한국교회가 든든하게 세워지도록 영적인 힘을 불어넣은 위대한 전도자였다. 그런 영적 지도자의 위대한 행적이 미국 국회의사당에 세워지게 된 건 미국인 뿐 아니라 전 세계 크리스천의 긍지이자 자랑이 아닐 수 없다. 그의 동상이 동성애와 자유주의 신학에 빠진 미국교회에 경종을 울리고 예수 그리스도의 위대한 복음 정신이 전 세계에 뿌려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