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성공회 조셉 드수자(Joseph D’souza) 주교가 “현대 선교 모델을 재고해야 하는 이유”라는 제목의 칼럼을 미국 크리스천포스트에 게재했다.
드수자 주교는 남아시아 인도주의 인권 단체 ‘존엄성자유네트워크’(Dignity Freedom Network) 설립자이자, ‘전인도기독교평의회’(All India Christian Council) 회장을 맡고 있다. 다음은 칼럼 전문.
세계와 지정학적 정치적 민감성은 지난 세기와 많이 다르다. 산업, 기업, 정치인들이 엄청난 변화와 싸워야 하는 반면, 서구 교회와 선교회들은 복잡하고 새로운 현실에 적응하기를 꺼리는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선교 단체들이 사용하는 용어를 들어 보자.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기독교인에 대한 깊은 적대감과 폭력을 촉발하는 오래된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개종”이나 “미전도 종족 그룹”과 같은 용어는 큰 문제를 야기한다.
서구 세계 역시 서구교회의 꾸준한 쇠퇴를 정직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 서구 기독교인들은 그들의 선교 모델이 서구 문화권에서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교회는 점점 더 자신의 기독교 하위문화의 거품 속에서 길을 잃어가고 있다.
문제는 자신의 심각한 쇠퇴를 해결하지 못한 교회가 어떻게 다른 세계를 위한 모델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서구 교회에서 나온 “국가의 제자화”와 같은 슬로건은 이를 위해 일하는 많은 교회가 자신의 이웃을 제자로 만들지 않았다는 것에 무감각하다.
세계 대부분의 사람들은 직장, 대가족, 부족 등 복잡한 공동체에서 살고 있다. 서구 세계에서 최고의 가치로 남아 있는 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넘어 기독교 제자도를 볼 필요가 있는 곳이 바로 이러한 영역이다.
게다가, 서구의 선교 활동은 현지 지도자들에게 권력과 전략을 이양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다. 다양한 형태의 신식민주의가 여전히 작용하고 있다. 재정력 또한 큰 걸림돌이다.
선교 활동에 있어 학위를 가진 사람들은 예수님이 실제로 자신을 낮추셨으며, 역전된 권력 패러다임 전환 속에서 인간들이 그분의 통치 하에 교회를 이끌도록 허락하셨음을 이해해야 한다.
선교 단체들이 계속해서 숫자에 집착하는 모습은 여전히 놀랍다. 어떤 이에 따르면, 50년 동안 인도에서 그리스도를 영접하는 결단이 5억 건이라고 한다. 만약 그게 사실이라면, 어째서 우리는 인도 전역에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며, 급진적으로 변화된 삶을 찾을 수 없는 것일까?
마찬가지로, 미국에서 그리스도를 영접한 결단에 관한 모든 주장을 생각해 보라. 변화된 삶과 지역사회에 미치는 순기능은 무엇인가? 진정으로 변화된 수천만 명의 삶은 어디에 있는가?
간단히 말하자면, 오늘날의 세계에서 결단이 진정한 중생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러한 슬픈 현실의 한 가지 이유는 서구에 만연한듯한 하나님 나라의 복음에 대한 얕고 환원주의적인 이해 때문이다. 이제는 오늘날 도움이 필요한 세상에 복음의 힘이 진정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수준을 정할 때이다.
너무 오랫동안 우리는 설교자들이 상처받은 영혼들에게 하늘나라로 가려면 예수님을 그들의 구세주로 받아들이라고 권유하는 것을 들어왔다. 반면, 하늘과 땅 사이의 중간 과정을 너무 등한시했다. 천국행 티켓은 이 잔인한 세상에서 가난한 자들, 인신매매당한 자들, 권리를 박탈당한 자들, 고통받고 길을 잃은 자들에게 이 땅의 지옥을 치료해 주지 않는다.
이러한 오류로 인해, 이 세계는 예수님의 삶과 사랑과 임재를 알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이곳과 지금의 삶을 살기 위해 그들을 자유롭게 해 줄 진리의 일부만 남게 되었다. 깨어진 많은 개인과 공동체 전체가 오늘날의 문제와 부담에 대한 하나님의 해결책을 부르짖고 있다.
온전한 복음이 다수 사회에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관계와 패러다임을 바꾸는 결정이 이뤄지는 사회적 참여의 맥락에서 전해져야 한다. 이러한 대담한 결정들은 개인만이 아닌 집단적으로 이뤄진다. 우리는 공동체의 기독교 증인이 되는 일에 있어서 가족의 결속과 문화적 유대를 무시한다.
더 간단히 말하면, 서양의 거래지향적 사고는 전 세계 여러 문화권에서 복음의 전체적인 힘을 제거해 버렸다.
변혁적 영향은 서구의 관습보다 느린 속도로 지역적 환경에서 가장 잘 뿌리내린다. 이를 통해 대다수의 세계에 살고 있는 우리들은 서구 세계의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힘을 중심으로 세워진 현대 선교 모델이 신학적으로 결함이 있고, 지속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금식 훈련, 즉각적인 교회 개척 등의 문화는 이 수입 모델의 한 가지 결점이다. 이는 성령께서 세상에 부어지며 놀라운 기적을 행하시는 것을 볼 때 변명의 여지가 없다. 이 포도주의 흐름이 중단 없이 계속되도록 하기 위해 새 포도주를 보존해야 하는 새 부대를 결정하는 것은 전 세계 교회에 달려 있다.
서구 기독교인들은 대다수 세계에서 오늘날 존재하는 교회 개척이 인구통계학적 변화를 가져오며, 특히 외국 기관과 단체의 요청에 따라 수행될 때, 제국주의 식민 정치 사업의 일부로 종종 간주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100년 전에는 없었던 오늘날의 문화에서는 이에 대한 상당한 반발이 있다.
우리는 초기 기독교 공동체가 그랬던 것처럼 복음 전파에 참여해야 한다. 우리는 증거하려고 노력하는 우리 형제자매들과 끈기 있게 함께하며, 교회의 구체적인 필요와 문제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그들에게 증거할 자유와 권위를 주어야 한다. 초대 교회는 보다 개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지역사회에 다가가는 평신도들을 통해 최선을 다했다.
평화의 남녀로서 공동체에 뿌리를 내리고 신뢰를 구축하려면 시간과 보살핌, 그리고 많은 경청이 필요하다. 임의의 목표와 이정표, 또는 전도 숫자 세기는 과거의 일이 되어야 한다. 지역 공동체 내의 진정한 변화가 중요하며, 이는 사람들을 더 진정으로 하나님의 사랑으로 이끈다. 우리는 역사적으로 지역 교회의 일반적인 규모는 약 200명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이러한 작은 교회의 다수가 하나님 나라의 온전한 복음에 헌신한다면 사회를 변혁시킬 수 있다.
일부 기독교인들은 부활 2000주년인 2033년을 홍보와 목표를 결합하여 세계 복음화의 다음 큰 원동력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나는 이 신자들에게 다시 그들의 노력에 집중하도록 독려하고 싶다.
서구를 다시 복음화하는 데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최선이다. 어쩌면 서구 기독교 지도자들이 대다수 세계의 지역 기독교 지도자들을 방문하고, 그들로부터 배우고, 하나님이 이미 그곳 사람들의 마음속에 어떤 일을 행하고 계시는지 살펴보아야 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