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어버이날이 되었지만, 자녀들과 따로 떨어져 혼자 사는 독거노인들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서울에만 독거노인이 25만명을 넘어섰다. 또 노인 5명 가운데 1명이 혼자 사는 독거노인인 것으로 조사됐다.
어버이날이 이들에게는 더 외롭고 쓸쓸하게 다가올 것으로 보인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가운데 독거노인들은 혼자 사는 게 편하다거나 자녀에게 부담을 주기 싫다는 등의 이유로 혼자 살지만, 노후 빈곤과 고독사 등의 사회 문제가 불가피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독거노인들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한 때 효(孝)를 강조하는 동방예의지국으로 불렸고 오늘날도 어버이날을 공휴일로까지 지정해 기념하는 나라로서는 서글픈 일이 아닐 수 없다.
새누리당 황인자 의원이 8일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16개 시·도의 독거노인 수는 올해 기준으로 총 137만 9,000여명으로 5년 전에 비해 18.5%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20만3,000여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이 18만1,000여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같은 기간 증가율은 인천이 24.3%로 가장 높았고 대전(23.7%), 부산(21.1%), 대구(20.7%), 울산 20.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해 기준으로 전체 노인 인구(642만9,000여명) 대비 독거노인 비율은 20%로, 노인 5명 중 1명은 독거노인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비율은 전남이 31%로 가장 높았고, 경북과 경남이 각각 27%로 뒤를 이었다.
황 의원은 "최근 5년간 독거노인 인구가 감소한 지역은 전국에서 단 한 곳도 없었다"면서 "노인 문제는 더이상 개인과 가정의 책임으로만 떠밀어선 안 되고 사회적인 차원에서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에 사는 65세 이상 독거노인은 지난 2007년 15만 8,424명에서 매년 증가하면서 2013년에는 25만 3,302명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6년 사이에 약 9만5,000명이나 늘어난 것이다.
올해 기준으로 60세 이상 가구주 중 24%가 혼자 사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5가구 중 1가구는 자녀가 없거나, 자녀가 있어도 혼자 사는 독거노인이라는 의미다.
통계청의 조사와 비교해보면 수치에 약간 차이는 있지만, 독거노인이 증가추세라는 것은 동일하다.
서울시는 지난 2000년부터 올해까지 15년 간 60세 이상 1인 가구가 14만 6,000명이나 늘었는데(매년 1만명씩 늘어났다는 의미다), 2030년까지 22만 7,000명이 더 늘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앞으로 15년간은 지난 15년간보다 독거노인들의 증가속도가 더 가팔라질 것이라는 의미다.
이런 가운데 통계청 사회조사에서는 앞으로 자녀와 함께 살고 싶지 않다는 응답이 2002년 49.3%에서 2013년 71.4%로 크게 증가했다. 10명 중에 7명 이상이 자녀와 함께 살지 않고 혼자 살겠다는 것으로, 앞으로 독거노인이 더 늘어날 것임을 알려주는 것이다.
또 60세 이상을 대상으로 자녀와 동거 여부를 조사한 결과, 이미 54.8%가 자녀와 함께 살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와 따로 사는 이유로는 '따로 사는 게 편해서'가 35.3%로 가장 많았고, '독립생활이 가능해서'(34%), '자녀에게 부담될까 봐'(23%)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의학의 발달로 수명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생활비, 의료비 등 각종 지출이 증가하면서 혼자서 안정된 노후를 보내기가 점점 어려워짐에 따라 독거노인들이 노후 빈곤에 시달리고, 고독사 하는 노인들도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다.
실제로 서울 관악구 삼성동 한 무허가 판자촌에서는 올해 1월 한 달 동안에만 고독사가 최소 4건 이상 발생했는데, 이 중 한 60대 남성의 시신은 부패가 너무 심하게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돼 신원조차 파악하지 못할 정도였다.
이런 가운데 중앙·지방정부의 노인 부양에 대한 수요와 욕구는 늘고 있다.
통계청 사회조사에서 부모의 노후 생계를 주로 누가 돌보아야 하는지에 대해 자녀가 해야 한다는 의견은 2002년 64.8%에서 지난해 31.2%로 감소한 반면, 자녀와 정부·사회의 공동 책임이라는 견해는 2002년 22.3%에서 지난해 48.2%로 크게 증가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자립 능력을 가능한 한 오래 유지할 수 있게 은퇴 초기부터 재사회화 교육과 사회 참여를 지원하는 '인생 이모작' 사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치매 등 질병을 조기에 발견해 부담을 더는 정책도 꾸준히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