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연합뉴스) 미국산 쌀에서 무기 비소가 검출됐다는 소비자단체의 보고에 따라 우리나라가 미국산 쌀의 판매와 입찰을 잠정 중단한 가운데 미국 의회가 비소 함유량을 제한하는 법을 추진 중이다. 23일 미국 의회와 허핑턴포스트 등 언론에 따르면 미국 하원 민주당 소속 로사 들로로(코네티컷), 프랭크 펄론(뉴저지), 니타 로웨이(뉴욕) 의원은 쌀과 쌀로 만든 가공식품의 최대 비소 함유량 기준을 식품의약국(FDA)이 규정하도록 하는 법안(RICE Act)을 지난 21일 발의했다. 법안의 정식 명칭은 '식품의 무기 및 유기 화합물 노출 감소를 위한 법안'(Reducing food-based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Exposure Act)이다.


이는 미국소비자연맹이 발간하는 '컨슈머 리포트'가 쌀과 쌀 가공식품에서 발암성 유해 중금속인 비소가 검출됐다고 밝힌 데 따른 것이다. 컨슈머 리포트는 60개 이상의 쌀 제품을 조사한 결과, 켈로그의 '라이스 크리스피'에서 거버의 유아용 이유식까지 무기 비소가 광범위하게 검출돼 이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들로로 의원은 보도자료에서 "수차례 비소의 위험성을 경고했으며 미국의 식품공급 시스템이 안전하다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더 많은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쌀이나 쌀 가공식품을 포함한 대부분의 식품에 대해 미국 연방정부는 별도의 기준을 마련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공화당이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 하원에서 이 법안이 쉽게 통과될지는 미지수다.


한편 우리나라 농림수산식품부는 컨슈머 리포트 지적에 따라 미국산 쌀의 판매와 입찰을 잠정 중단한 상태다. 정부는 소비자 안전을 위해 농촌진흥청으로 하여금 비소 검사를 가급적 이른 시일에 실시해 그 결과에 따라 판매 재개 여부를 정하고 미국산 쌀의 입찰 여부도 미국 FDA 조사 결과를 보고 결정하기로 했다. FDA는 쌀과 쌀 제품이 안전하지 않다는 증거는 아직 없다면서도 쌀과 시리얼, 쌀 음료, 떡 등 1천200여종의 샘플을 수거해 비소 함량을 조사 중이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미국 쌀 수입은 10만1천490t(밥쌀용 3만2천62t, 가공용 6만9천428t)이고 올해분 계획 물량은 9만901t으로 3만t(밥쌀용 2만t, 가공용 1만t)이 통관됐으며 현재 미국산 쌀 재고는 8만1천t이다.


비소는 물, 공기, 흙, 음식 등에 유기 비소와 무기 비소 형태로 존재하며 유기 비소는 인체에서 빠르게 빠져나가 아무런 해가 없지만 농약이나 살충제 등에 포함된 무기 비소의 경우 많은 양을 섭취하거나 오랜기간 축적되면 암 유발 위험이 높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