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미국 대통령 행정부가 하버드대학교 내에서 벌어진 반(反)이스라엘 정서 확산과 관련해, 유대계 학생에 대한 위협과 괴롭힘을 대학 측이 방치했다며 민권법 위반 사실을 공식 통보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6월 30일,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에 민권법 위반 통지서를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작년 미국 대학가에서 이어진 반이스라엘 시위에 따른 유대인 학생들에 대한 위협이 제대로 대응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이번 조치는 하버드를 포함한 아이비리그 명문대를 포함해 총 60개 대학을 대상으로 한 광범위한 조사 결과에 따른 것이다. 행정부는 하버드 측이 유대계 및 이스라엘계 학생들이 캠퍼스 내에서 겪는 위협과 차별에 대해 사실상 대응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학생들이 신분을 숨기고 두려움 속에서 생활하게 됐다고 지적했다.
통지서에는 하버드 캠퍼스 내에서 발생한 구체적인 반유대주의 사례들이 열거됐다. 유대인을 상징하는 다윗의 별에 달러 기호를 그리거나, 이스라엘 국기 위에 나치 문양을 덧씌우는 행위 등이 그 대표적인 예다.
행정부는 통지서에서 "대학 측이 즉각적인 시정 조치를 도입하지 않을 경우, 하버드가 수령 중인 모든 연방 재정 지원이 중단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연방정부와의 관계에도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앞서 트럼프 행정부가 반이스라엘 시위의 진원지로 지목된 컬럼비아대학교에 내린 유사한 통지서와 같은 맥락으로, 미국 대학 내 확산 중인 반유대주의에 대한 강경 대응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WSJ는 이 같은 민권법 위반 통지는 법무부의 정식 고발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대학 측이 자발적으로 시정안을 제출해 사태를 종결시키는 방식으로 마무리된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전부터 DEI(다양성ㆍ형평성ㆍ포용성) 정책과 반유대주의 확산 문제를 지속적으로 비판해왔으며, 이에 따라 대학 당국에 제도 개선을 강하게 요구해왔다. 이에 대해 하버드 측은 학문의 자유 침해라며 강하게 반발했고, 트럼프 행정부는 이후 여러 압박 조치를 이어갔다.
최근에는 하버드에 지급되던 약 3조 원 규모의 연방 연구 지원금이 중단됐고, 이어 외국인 학생의 등록을 제한하는 조치까지 시행됐다. 해당 조치는 법원의 결정으로 일시 중단됐지만, 향후 법적 다툼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월 20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소셜(Truth Social)에 "우리는 하버드와 긴밀히 협력해왔다"고 언급하며, 정부와 대학 간의 향후 합의 가능성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