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악관이 오는 7월 8일 종료 예정인 상호관세 90일 유예 조치를 연장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26일 정례 브리핑에서 유예 연장 여부에 대해 "아마도 연장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내릴 사안"이라고 밝혔다. 

지난 4월 9일,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을 포함한 57개국에 대해 차등화된 상호관세 부과 조치를 발표했으나, 불과 13시간 만에 90일간 유예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 유예 조치는 7월 8일 만료될 예정이며, 최근 주요국들과의 협상이 지연되면서 연장 가능성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백악관 행사에서 "어제 중국과 합의했고, 인도와도 큰 합의가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지만, 유럽연합(EU), 일본 등과의 구체적인 진전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스티븐 미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은 야후파이낸스 인터뷰에서 "성실하고 진정성 있는 협상이 진행 중이라면 유예는 연장될 것"이라며 "그러한 협상에 갑작스러운 관세 폭탄을 던져 협상을 망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 정부도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여한구 신임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해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회동했다. 한미 양국은 7월 8일 전까지 관세 철폐 방안을 담은 '줄라이 패키지' 마련에 합의한 바 있다. 

한편 백악관은 협상이 최종 마감 시한까지 진전되지 않을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관세율을 통보할 수 있다는 입장도 밝혔다. 레빗 대변인은 다른 기자의 질문에 대해 "협상이 이뤄지지 않으면 대통령은 단순히 거래 조건을 통보할 수 있다"며 "미국과 미국 노동자들에게 유리하다고 판단되는 상호관세를 선택할 수 있고, 계속 그렇게 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동시에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 부담이 더욱 커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 26일 포고문을 통해 자동차와 부품에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상무부에 관세 대상 부품을 추가할 수 있는 절차 마련을 지시했다. 

이에 따라 상무부 산하 국제무역청(ITA)은 지난 24일 관련 절차가 마무리됐다고 발표했다. 오는 7월 1일부터는 미국 내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들이 관세 부과를 원하는 부품에 대한 의견을 제출할 수 있게 되며, 요청이 접수되면 60일 이내에 부과 여부가 결정된다. 

앞으로 미국 정부는 매년 1월, 4월, 7월, 10월 총 네 차례에 걸쳐 업계의 요청을 접수할 예정이며, 이로 인해 수입 부품을 사용하는 미국 내 조립업체나 글로벌 부품 공급 업체들까지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이번 상호관세 유예 연장 가능성과 자동차 부품에 대한 추가 관세 확대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 기조가 재차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움직임은 한국을 포함한 주요 수출국들의 통상 전략 전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특히 자동차 산업과 관련한 피해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