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스라엘의 대이란 공격에 미국이 참여할지 여부를 두고 신중한 입장을 유지했다. 군사적 대응을 포함한 최종 결정을 아직 내리지 않았다고 밝히면서도, 이란의 핵무기 보유를 절대로 허용할 수 없다는 기존 입장을 거듭 강조하며 강경한 메시지를 이어갔다. 동시에 외교적 협상의 문도 닫지 않았다며 대화를 통한 해법 가능성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8일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무엇을 할지에 대한 아이디어는 있다"면서도 "나는 시한 도래 1초 전에 최종 결정을 하고 싶다. 전쟁에서는 상황이 빠르게 바뀐다"고 말했다. 같은 날 이탈리아 축구팀 유벤투스 선수단과 만난 자리에서도 트럼프는 같은 발언을 반복했다. 그는 "나는 싸움을 추구하지 않지만, 그것이 싸움이냐, 이란의 핵무기 보유냐 사이의 선택이라면 해야 할 일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에 이어 이날도 백악관 상황실(워룸)에서 중동 위기와 관련한 추가 회의를 소집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오후에도 이란과의 분쟁 관련 보고를 받기 위한 회의를 가질 예정이라고 밝히며,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음을 분명히 했다.
이란 최고지도자인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정권의 붕괴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물론 어떤 일이든 일어날 수 있다"고 답해 정권 교체 가능성까지 배제하지 않는 태도를 보였다. 이어 "이란은 핵무기를 가질 수 없다고 오랫동안 말해왔다"며 "그들이 핵무기를 보유하기까지 몇 주밖에 남지 않았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미국이 이란에 제안했던 합의안이 "공정한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란이 이를 거부했다며, 지금은 그들이 당시 서명하지 않은 것을 후회하고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그들은 지금 백악관을 방문하고 싶어 한다. 하지만 너무 늦었다"고 언급하면서도, 협상 재개의 여지를 남겨두었다.
기자들이 협상의 문이 닫힌 것 아니냐고 묻자 트럼프는 "아니다. 아직 열려 있다"고 답했다. 이란 대표단의 백악관 방문 가능성에 대해선 "그들이 와도 되냐고 물어봤다. 무슨 일이 일어날지 지켜보자. 그들로선 쉬운 일이 아니다"라고 말하며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