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이 내란 혐의와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을 받기 위해 법원에 모습을 드러냈다. 12일 오전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3차 공판에 출석한 그는 별다른 말 없이 굳은 표정으로 법정으로 향했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9시 55분께 서울중앙지법 서관 청사 1층 출입구를 통해 도착했다. 재판은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 부장판사) 주재로 오전 10시 15분부터 서울중앙지법 417호 대법정에서 열렸다. 3차 공판인 이날은 윤 전 대통령이 일반 피고인과 같은 동선을 따라 출입하면서, 이전과는 달리 언론의 포토라인을 직접 마주한 모습이 포착됐다. 

윤 전 대통령은 어두운 색 정장에 붉은 넥타이를 매고 2대8 가르마로 단정히 머리를 정리한 채 등장했다. 그러나 대기 중이던 취재진의 질문에는 일절 응답하지 않았다.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사과할 의향이 있느냐', '군부정권 이후 최초로 계엄을 선포한 헌정사상 대통령으로서 자유민주주의자로 스스로를 여기는가'라는 질문이 이어졌지만, 그는 아무 말 없이 정면을 응시하며 발걸음을 옮겼다. 

이어진 질문에서도 윤 전 대통령은 침묵을 유지했다. '전국선거 없는 해에 대선을 치르게 된 데 대해 국민에게 할 말은 없는가', '김건희 여사의 공천 개입 의혹에 대해 여전히 정치공세라고 보느냐'는 취재진의 물음에도 무응답으로 일관했다. 이 과정에서 대통령경호처 소속으로 보이는 인원이 한 기자의 팔을 잡고 당기는 장면이 목격되기도 했다. 

윤 전 대통령이 법원에 도착하기 전부터 청사 앞에서는 지지자들이 몰려 "윤석열 대통령"을 외치며 그를 연호했지만, 그는 그 어떤 반응도 보이지 않은 채 무표정한 얼굴로 법정으로 향했다. 

이번 공판에서는 검찰 측 증인으로 박정환 육군 준장(육사 49기) 겸 특수전사령부 참모장과 오상배 수도방위사령부 부관이 출석해 증인신문을 받을 예정이다. 두 인물은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를 주도한 것으로 지목된 정황과 관련한 핵심 인물로, 검찰은 이들의 증언을 통해 내란 혐의의 실체를 입증하려는 전략이다. 

또한 이번 공판에선 윤 전 대통령이 새로 추가 기소된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에 대해서도 심리가 이뤄질 전망이다. 해당 혐의는 지난 2일 기소된 것으로, 재판부는 내란 우두머리 혐의 사건과 병합 심리하기로 결정했다. 

윤 전 대통령은 비상계엄령 문건 작성 및 실행 계획을 승인하거나 지시한 혐의로 내란의 우두머리 혐의를 받고 있으며, 동시에 공직 인사 및 권한 행사와 관련해 직권을 남용한 혐의도 함께 재판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