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행정부가 이르면 다음 주 중국산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대폭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현재 최대 145%에 달하는 대중국 관세가 50% 수준으로 낮아질 가능성이 제기됐다. 

미국 뉴욕포스트는 8일, 복수의 미중 무역 협상 관련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제품에 부과된 관세를 50~54% 수준으로 낮추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같은 관세 조정 논의는 이르면 다음 주 열릴 예정인 미중 간 첫 고위급 무역협상을 앞두고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관세 인하 논의는 양국 간의 보다 장기적인 무역 합의를 위한 초기 조치로 해석되고 있다.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 외 남아시아 국가들에 대해서도 관세를 25% 수준으로 낮추는 방향을 함께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영국과의 무역 협정 발표 자리에서도 대중국 관세와 관련해 언급했다. 그는 중국에 대한 관세 인하 가능성에 대한 기자의 질문에 "그럴 수도 있다"며 "지켜봐야 한다"고 즉답을 피하면서도 여지를 남겼다. 

관세 인하 논의는 이미 지난달부터 업계와의 비공식 접촉을 통해 진행돼온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월마트를 포함한 미국의 3대 소매업체 최고경영자(CEO)들과의 비공개 회동에서도 세율을 50~54%로 낮추는 방안을 직접 언급한 바 있다. 당시 회동에서 주요 소매업체들은 현재의 고율 관세가 미국 소비시장에 심각한 충격을 줄 것이라며 강하게 우려를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식펀(Basic Fun)의 제이 포먼 CEO는 "중국에서의 선박 출항을 재개하기 위한 기준선으로 54%라는 수치가 언급됐다"며 "이번 주나 다음 주쯤에는 정책 전환의 조짐이 나타날 것이라는 신호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조정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다수의 미국 소매업체는 현재 10~54% 관세 범위를 기준으로 가격을 설정할 것을 공급업체에 요청한 상황이다. 이는 관세 인하가 현실화될 가능성에 대비해 상품이 미국에 도착하는 시점에서의 최종 가격을 탄력적으로 책정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업계는 50% 수준의 관세도 여전히 지나치게 높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소매업체 경영진들은 연말 쇼핑 시즌을 앞두고 관세 부담이 크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로 인해 소비자 가격이 급격히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하고 있다. 실제로 일부 업체들은 매장 내 진열 상품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도 내놓고 있다. 

관세 정책을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는 가운데, 쿠시 데사이 백악관 부대변인은 이날 성명을 통해 "관세와 관련한 최종 결정은 대통령 본인이 내릴 사안"이라며 "그 외의 모든 내용은 순전히 추측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