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같은 당의 권성동 원내대표와 김무성·유준상 상임고문이 후보 단일화를 촉구하며 단식에 돌입한 데 대해 강하게 반박했다. 김 후보는 8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단식을 하려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싸우는 단식을 해야지, 왜 저와 싸우는 단식을 하느냐"며 날을 세웠다.
김 후보의 발언은 같은 당 내부 인사들이 사실상 자신을 향해 사퇴를 요구하는 상황에 대해 강한 불쾌감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권성동 원내대표와 김무성·유준상 상임고문은 최근 국민의힘 내부에서 대선을 앞두고 후보 단일화를 주장하며 단식 투쟁에 들어간 상황이다. 이에 대해 김 후보는 단식의 방향이 잘못됐다고 지적하며 "단식은 정권 교체를 위한 투쟁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 후보는 최근 당 안팎에서 제기된 '후보 교체론'에도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 당헌·당규상 후보 교체가 가능하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가능한 예를 가져오라"며 "전 세계 정당 역사상 이런 사례가 어디 있느냐. 공식 후보를 뽑자마자 당에 소속되지도 않은 사람에게 등록도 안 한 상태에서 단일화를 요구하는 논의가 나오는 게 이해가 되느냐"고 반문했다.
김 후보는 이처럼 자신의 후보 자격을 문제 삼는 논의 자체가 정당 정치의 기본을 훼손하는 일이라고 주장하면서, 당내 일각의 움직임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특히 "당 밖의 인사를 중심으로 후보 단일화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은 후보 교체를 전제로 하는 것인데, 이는 명백히 비정상적인 일"이라는 점을 강하게 시사했다.
한편, 이날 기자들은 김 후보에게 단일화 제안 시점에 대해 질문을 던지기도 했다. '당선 직후 방송 토론과 여론조사를 추진했더라면 단일화도 앞당겨졌을 것인데 왜 오늘 제시했느냐'는 질문에 김 후보는 "국민의힘 지도부는 선대위를 먼저 구성하지 않고, '선 단일화 후 선대위 구성'을 공식 입장으로 정했다. 그러다 보니 그 사이에 (단일화가) 늦어질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는 단일화 논의의 시점이 늦어진 이유가 자신의 판단이 아닌 당 지도부의 방침 때문이었다는 점을 해명한 것으로 보인다. 김 후보는 자신이 일방적으로 단일화를 거부하거나 지연시킨 것이 아니라, 내부 절차에 따른 결과였음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