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 구스타보 페트로 콜롬비아 대통령에게 '백기 투항'을 받아낸 것은 향후 트럼프 2기 행정부가 '관세 폭탄'을 외교 협상 수단으로 사용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영국 BBC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 위협을 통해 콜롬비아로부터 '불법 체류자 수용안 동의'를 얻어낸 것에 대해 "미국의 우방국과 적대국 모두에게 '미국과 협력하지 않으면 그 결과는 심각할 것'이라는 강력한 경고를 보낸 것"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불법 이주민 단속 강화 조치의 일환으로 군을 동원해 국경 보안과 추방 작업을 진행 중이다. 그는 24일 과테말라와 온두라스에서 미국으로 추방된 이주민을 태운 미 공군 화물기 항공편을 보낸 바 있다. 그러나 콜롬비아 정부는 미국 불법 이주민을 태운 항공기의 착륙을 거부하며 양국 간 갈등이 격화됐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콜롬비아산 모든 상품에 긴급 관세 25%를 부과하고, 일주일 뒤 이를 50%로 인상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또한 콜롬비아 정부 관료들에 대한 비자 제한, 여행 금지령, 금융 제재 등을 명령하며 강경 조치를 이어갔다.
콜롬비아 대통령은 즉각 대응에 나서 미국산 수입품 관세를 25%로 인상하라는 지시를 내렸으나, 결국 미국의 군용기를 이용한 불법 체류자 송환을 포함해 모든 콜롬비아 출신 이주민을 수용하겠다는 합의를 내놓으며 사태는 일단락됐다.
BBC는 이러한 트럼프 대통령의 행보가 단순히 콜롬비아를 겨냥한 것이 아니라 적대국과 우방국을 가리지 않고 미국의 강경한 입장을 강조하기 위한 신호로 분석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조치는 불법 이민 단속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다른 국가들도 이를 본보기로 삼을 것"이라고 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콜롬비아와의 갈등은 트럼프 행정부가 불법 이민 문제 해결을 최우선 정책으로 삼고 있음을 보여준다"며 "관세 위협이 대선 공약 이행의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로이터 통신은 백악관 소식통을 인용해 "콜롬비아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적으로 불법 체류자 문제를 다루는 방식에 있어 본보기가 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러한 외교 전략은 향후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한 이민 정책 기조가 지속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