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이라는 세계
(Photo : 복있는사람) 경이라는 세계

땅을 걷다 참되고 선하고 아름다운 것들을 만날 때면 사람은 경이를 느낀다. 그런데 그런 경이는 사람 안에 어떤 ‘그리움’을 낳으며 이는 진선미의 바다, ‘하늘’을 향한 그리움이다. 이종태 교수(서울여자대학교 교목실장)는 EBS 클래스 ⓔ 강연에서 문학과 철학, 과학과 신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경이’의 세계를 주제로 강연했다. 저자는 강연했던 내용을 토대로 이 책을 썼다.

 

저자는 책 속에서 “아이는 어른이 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아이가 어른이 되면, 얻는 것도 있지만 잃어버리는 것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동심을 잃게 됩니다. 워즈워스의 말을 빌리자면 “무지개를 보면 가슴이 뛰는” 마음을 잃어버리게 됩니다. 어른들이 무지개를 보아도 가슴이 뛰지 않는 이유는, 자신은 이제 머리가 클 만큼 컸다고, 스스로 과학 지식을 통해 계몽되었다고 여기기 때문입니다. 스스로를 계몽되었다고 여기는 현대인은 더는 태양을 보고 절하지 않고, 무지개를 볼 때 가슴이 뛰지 않습니다. 그 대신 현대인은 행성에 우주 탐사선을 보내고, 프리즘을 통해 무지개 현상을 만들어 내지요“라고 했다.

이어 ”C.S 루이스가 말하는 이 ‘Joy’, 기쁨은 사실, 기쁨이나 즐거움보다는 차라리 슬픔이나 아픔에 가까운 무엇이었습니다. 누리는(enjoy) 무엇이라기보다는 겪는(suffer) 무엇이었습니다. 영혼을 압도해 오는 어떤 허기, 어떤 갈증 같은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신기한 것이 있습니다. 이 허기, 이 갈증은 이 세상 그 어떤 배부름이나 만족보다도 인간의 영혼을 매료시킵니다. 사정없이 영혼을 후벼 파는 허기요 갈증인데, 그런데 이상하게도, 우리 영혼은 이 허기, 이 갈증에 대해 전혀 몰랐던 때로 결코 돌아가고 싶어 하지 않습니다“고 했다.

그러면서 ”아름다운 것을 보면 마음이 아립니다. 마음이 벅차오르면서도 또 한편으로는 마음이 아려옵니다. 그리움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그리움이 일깨워지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하늘을 향한 그리움, 아름다움의 바다인 하늘을 그리는 마음이 일깨워지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말하자면 사람은 본래 하늘이라는 아름다움의 바다에서 살도록 지음 받은 존재라 하겠습니다. 아름다움에 잠겨서, 아름다움을 마시며, 아름다움 속을 헤엄치며, 아름다움을 호흡하며, 아름다움을 살아 내며, 그렇게 그 자신이 하늘 아름다움의 일부가 되어 살아가도록 지음 받은 존재입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