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돈 교수(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목회사회학)가 17일 기윤실(기독교윤리실천운동) 홈페이지에 '위드코로나 시대, 한국교회의 딜레마와 과제'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조 교수는 "정부의 위드코로나 정책 덕분에 교회가 활기를 찾고 있다. 예배에 사람들이 찾아오니 그동안 썰렁했던 교회에 온기가 느껴지고, 예배는 힘이 생겼다. 심지어 예배 전에 사람들을 맞이하는 목소리가 달라졌다"며 "옥타브가 하나 이상 올라갔다. 반가운 얼굴을 보는 기쁨, 함께 예배를 드린다는 만족감의 표현일 것이다. 그런데 한 구석에서는 불안함이 밀려온다"고 했다.

이어 "이 시점에서 위드코로나를 맞이하는 교회의 자세가 어떠해야 할지를 생각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 같다"며 "첫째로, 코로나19 이후의 인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약 2년 동안 우리는 코로나19가 가져온 변화 가운데 살아왔다. 농담 삼아 코로나19 제자훈련을 받았다고 말하기도 한다. 새로운 삶의 환경 가운데서 새로운 가치관과 새로운 삶의 방식을 훈련받았다. 또, 뉴노멀이라고 할 수 있는 새로운 삶의 환경은 우리의 신앙과 교회 생활도 많이 바꾸어 놓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래서 이제 교회는 이렇게 달라진 사람들과 다시 시작해야 한다. 제로베이스의 상황에서 다시 생각해야 한다"며 "교회가 공동체라고 말한다면 그 구성원인 성도 한 사람, 한 사람이 변한 상황에 적응해야 한다. 2년 전까지 우리가 생각해 온 교회상의 어떤 부분은 이제 내려놓아야 한다. 그리고 개인들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고 했다.

그는 "온라인 예배가 진행되는 동안 교인들에게 양극화가 일어났다"며 "교회를 직접 가지 못하니 점점 게을러져서 예배를 빠지는 경우들이 많아졌다. 처음에는 예배에 임할 때 자신을 다잡을 생각으로 복장도 갖추고, 현장 예배의 순서에 따라 일어서기도 하고, 목소리를 높여서 찬송도 따라 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이런 긴장이 점점 풀렸다"고 했다.

이어 "어떤 이들은 이 시기를 통과하며 신앙과 멀어졌을 것이고, 어떤 이들은 더욱 신앙이 두터워졌을 것"이라며 "그리고 어떤 이들은 다양한 설교와 공부로 더욱 풍부한 세계를 경험하고 나타날 것이다. 이들을 어떻게 맞이할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한 공동체를 만들어 갈지를 고민해 볼 때"라고 덧붙였다.

조 교수는 "둘째로, 다운사이징에 적응해야 한다. 위드코로나라고 하지만 예전 같지는 않다. 교인들이 돌아오지만 예전의 절반 정도만 돌아온다. 도시 교회들의 경우, 일반적으로 교인은 절반 정도 줄어들었고, 재정은 30% 정도 줄었다고 한다"며 "문제는 여기에서 다시 시작하더라도 예전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기대할 수 없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이제 이런 상황에 맞는 대책이 나와야 한다. 변화된 규모에 맞는 목회와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가장 중요한 점은 교회도 구조 조정이 일어나야 한다는 점이다. 교회는 항상 '믿음으로' 항상 예산 규모를 확대해 왔다. 교인이 늘어날 것이고, 그에 따라 재정도 늘어날 것이라는 전제가 항상 있었다. 그런데 이제 그런 신화는 무너져 갑자기 교인이 절반으로 줄어들고, 재정이 30% 줄어들었다. 지금까지 교회들은 이런 부분에서 그리 심각성을 느끼지 못했다"며 "예배를 온라인으로 드리니 교인이 안 보이는 게 당연했고,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는 것도 없었다. 거기에 행사비나 선교비 지출 등이 중단되니 재정 지출도 없었다. 하지만 이제는 다르다. 새롭게 시작하는 것들이 생기고 있다. 그렇다면 이제 인원과 재정에서 다운사이징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앞으로 중요한 것은,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을 구별하는 것"이라며 "이전처럼 모든 일을 다 할 수는 없다. 줄어든 재정만큼 사역을 줄여야 한다. 그렇다면 어디서부터 줄일 것인가, 무엇을 줄여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남는다. 짐 월리스는 '예산은 도덕적 문서'라고 했다. 재정이 지출되는 모습을 보면, 그 나라의, 그 단체의 도덕성이 드러난다는 의미다. 그리고 다른 의미로는, 그렇게 도덕적 가치를 드러내야 한다는 말이기도 하다. 이제 우리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신학적 가치, 신앙적 가치, 도덕적 가치를 가지고 예산을 조정해야 한다"고 했다.

그리고 그는 "셋째로, 사회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 코로나19 기간 동안 우리는 생존에 여념이 없었다. 사회로부터 지탄을 많이 받았지만 그에 대처할 능력도 여유도 없었다"며 "그러나 이제는 한숨 돌리게 되었으니 한 번 주위를 둘러보자.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라고 했다.

이어 "한국 교회가 살 길은 사회적 신뢰를 회복하는 일"이라며 "지역에서는 성도 개인이, 그리고 교회들이 해내야 한다. 구 단위에서는 지역 교회 연합이나 좀 규모가 있는 교회들이 해야 한다. 그리고 한국 사회에서는 교회를 대표하는 기관들이 감당해 주어야 한다. 정말 전방위적으로 이 사회에서 잃어버린 신뢰를 회복하지 못하면, 이제 한국 교회는 나아갈 길이 없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정말 진지하게 생각해 보아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코로나19 상황의 새로운 국면으로서 위드코로나가 시작되었다. 교회에 그래도 성도들이 모이면서 축제 분위기가 일어나고 있다. 이때 우리의 바람이 2년 전의 모습을 회복하는 것에서 그친다면, 또 다른 위기를 맞이할 것"이라며 "과거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과거의 경험을 기초로 삼고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내야 한다. 아직 손에 구체적으로 잡히지는 않는 과업이지만 적어도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려는 교회의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고 했다.